DOM이란? 텍스트 파일로 만들어져 있는 웹 문서(HTML 파일, XML, SVG)를 브라우저에 렌더링 하려면 웹 문서를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로 메모리에 올려야 합니다. 브라우저의 렌더링 엔진은 웹 문서를 로드한 후, 파싱하여 웹 문서를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메모리에 적재하는데 이를 DOM이라 합니다. 즉 모든 요소와 요소의 어트리뷰트, 텍스트를 각각의 객체로 만들고 이들 객체를 부자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트리 구조로 구성한 것이 DOM입니다. DOM은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DOM은 렌더링에 반영됩니다. 그림을 보면 브라우저는 웹 문서(HTML 파일,XML, SVG)를 로드한 후 파싱하여 DOM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웹 문서의 동적 변경을..
https://pabeba.tistory.com/164 MVC - FrontController Pattern https://pabeba.tistory.com/157 Model 1 Architecture Model1 Architecture 이란? Model 1 은 View와 Model을 모두 JSP 페이지 하나에서 처리하는 구조를 말합니다. Java Bean은 class를 만들어서 로직을 작성해 놓은 것입니다. pabeba.tistory.com 기존에 frontController를 이용해서 http 요청을 받아왔습니다. 그다음 hidden tag의 값을 이용해서 어떤 요청이 왔는지 확인했는데 만일 웹페이지에 이러한 요청이 500개가 있다고 생각했을 때 FrontController에 있는 doDispatch..
https://pabeba.tistory.com/157 Model 1 Architecture Model1 Architecture 이란? Model 1 은 View와 Model을 모두 JSP 페이지 하나에서 처리하는 구조를 말합니다. Java Bean은 class를 만들어서 로직을 작성해 놓은 것입니다. JSP 역할 client 에게 리스트 또는 입력양 pabeba.tistory.com https://pabeba.tistory.com/158 Model 2 Architecture (MVC) Model2와 Model 1 비교해보면 재밌습니다. https://pabeba.tistory.com/157 Model 1 Architecture Model1 Architecture 이란? Model 1 은 View와 Mo..
공용 index.jsp EL과 JSTL : View 영역에 해당되는 jsp 기술 jsp 내장객체 request : session : application (ServletContext) : EL Test1 EL Test2 EL Test3 JSTL if param (${param.~}) Test02 Servlet @WebServlet("/Test02Servlet") public class Test02Servlet extends HttpServlet{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1L; @Override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
JSTL 이란? JavaServer Pages Standard Tag Library의 약자로 , JSP 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태그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JSTL을 사용하면 JSP 코드를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JSTL 설정 방법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javax.servlet/jstl/1.2 에 방문하여 jar 파일을 다운로들합니다. 그 다음 다운로드한 jar 파일을 Dynamic project 파일 안에 있는 src\main\webapp\WEB-INF\lib 폴더 안에 넣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아니면 Apache-tomcat 파일안에 lib에 넣어서 사용해도 됩니다. 예제 파일을 조금 많이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천천히 읽어보면서 이해..
Forward란? request와 response가 유지되면서 제어가 이동되는 방식입니다. Web Container 상에서 이동되므로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측은 이동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 ( URL 상의 변경이 없음 ) 클라이언트가 재동작 즉 재요청(새로고침) 할 경우 request와 response가 유지되므로 기존 동작이 반복됩니다. 주로 정보 조회(select)시 이용됩니다.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한 번의 통신이 Server 내에서만 동작이 이루어지고 그 다음에 브라우저에 보내주는 형식입니다. Redirect 란? 응답시 클라이언트에게 이동할 url을 지정하여 클라이언트가 이동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기존 request와 response 는 유지되지 않습니다. 재요청시 기존 동작은 반복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