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1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비슷한 거 아냐?
공통점
개발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어 준다.
차이점
누가 누구를 제어하는가? 를 생각하면 쉽다.
어떤 도구에 대해서 모든 결정을 다 내리고 있다면 라이브러리
누군가 정한 규칙에 따라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우리가 필요할 때 불러서 쓸 수 있다.
프레임워크
코딩 규칙, 파일 저장 규칙등을 따라서 개발해야함
Ep12. 제이쿼리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기술일까?
저자는 '제이쿼리는 정말로 필요할 때에만 배워라!' 라고 말하고 있다. 자바스크립트를 기본으로 필요할 때 제이쿼리를 배우면 된다.
Ep13. 그 놈의 API, 대체 뭐길래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키보드와 비슷한 API
키보드에 입력 값을 화면에 출력하는 것처럼 API도 웹이나 앱에서 버튼을 누르면 그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와 유저의 소통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프로그래밍 초보자가 하기 쉬운 실수
- 처음에 너무 열심히 한다
- 공부했는지 체크하기 위해서만 공부한다
- 기한 없이 공부한다
Ep14. 도메인은 왜 돈을 주고 사야 할까?
숫자 외우기가 너무 불편해서 만든 도메인 시스템
도메인 시스템은 전화번호부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메인 전화번호부와 레지스트리인 서브 전화번호부가 있다.
도메인을 구입할 때는 레지스트리를 직접 관리하는 기업에게 사지 않고 리셀러에게 사는 편히 편하다. 이유는 레지스트리에 등록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
레지스트리를 운영하려면 인프라나 기술, 고객 관리 능력을 갖춰야하고 돈도 2억2천만원 정도 필요하다.
Ep15. 플래시의 서비스 종료와 스티브 잡스
플래시의 처음 사용 용도는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그리는 사람을 위한 제품이었다.
매크로 미디어가 퓨처웨이브 소프트웨어를 인수해서 애니메이션을 브라우저에 띄울 수 있게 해줬다.
하지만 스티브 잡스는 오픈소스가 아니고 보안이 안좋은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ios에서 배제했다.
플래시를 대체할 만한 기술이 점점 개발되었고, 결국 2020년 12월 31일에 플래시가 종료되었다.
소감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아는 것이 많이 생깁니다. 이 책을 안읽었으면 기존에 겉면만 알고 있던 것이나 알고 있어도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을 확실하게? 조금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서 계속 다음장을 보게 됩니다.